반응형

예전 익스플로러 4,5 대 에서는 인식 문제 때문에 사용했었다.

자바스크립트 해석기가 없어 화면에 스크립트 그대로 출력했었다. 요즘엔 안하는 게 좋다.

(<!--//-->는 마크업 공통 주석 처리 방식이다.)

 

Javascriptclient측이다. 즉 브라우저 뜨고나서 실행시 시작된다.

Jsp는 서버측으로 화면 브라우저에 보여주는 순간 끝이다.

그렇기 때문에 javascript 파라미터 값에 <%=%>는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.

사용하려면 변수에 <%=%>담고, 그것을 호출하는 식으로 처리해야한다.

반응형
반응형

Request.getContextpath()

- http://localhost:8080/test/testpage.jsp

: /test

 

Request.getRequestURI()

- http://localhost:8080/test/testpage.jsp

: /test/testpage.jsp

 

Request.getRequestURI()사용시 파일명만 가져오기

String[] uri = request.getRequestURI().split(“/”);

String fileName = uri[uri.length-1]; //배열의 마지막 값이 파일이름 이니까

반응형
반응형

xdoclet은 컴포넌트 별로 정의된 태그를 자바소스에 사용함으로 인해
자바소스 및 Descriptor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식.

사용이유: 자바소스가 수정될 경우 소스코드 하나만 관리하면 되기 때문에 개발시간의
단축효과 볼수 있다. (자바소스와 Descriptor와의 동시성 유지)

사용하려면: 우선 Ant가 있어야 한다.
1. xdoclet.sourceforge.net
2. web.xml
에 정의하고자 하는 내용을
/*@web.servlet name="~" @web.servlet~*/

서블리에 정해진 태그를 이용하여 추가(java파일에)

web.xml :
웹 어플리케이션의 배치 descriptor
<servlet><servletMapping>

3.
커스텀 태그 (tag 정보 가지는 tld)생성할 때 사용
(
커스텀 태그 클래스에 정의 )
/*@jsp.tag name="~"*/

4. struts-config

/*@struts.action name=”~” path=”~”*/

 

동작:

Browse-> web.xml(Servlet Action)-> struts-config.xml-> LoginAction-> LoginForm-> JSP View

 

) <action path=”/selectcode” type=”selectAction” name=”selectForm” selectcode.do>

selectAction을 찾아가 selectForm을 가지고
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