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taglib는 공개된 커스텀 라이브러리이다.
jakarta.apache.org/taglibs

커스텀 태그를 사용하는 이유: 디자인과 프로그램을 분리하기 위해서이다.

설정: 톰캣 server.xml 파일에 <HOST>태그에서 unpackWARS="true"면
~~~.war(taglib파일)을 톰캣의 <CATALINA_HOME>/webapps에 복사한다. (잠시 압축풀리며 디렉토리를 생성한다.)

다른곳에서 사용: /WEB-INF 아래 /lib 만들어서
1. 압축풀린 ~~~를 /WEB-INF/lib에 ***.jar파일과 common_lang.jar복사한다.
2. /WEB-INF아래에 ~~.tld복사한다.
(jsp에서 실제 동작하는 태그핸들러와 사용하는 태그를 연결해주는 역할이다. xml파일형식)
3. web.xml에 파일을 등록한다.
<taglib><taglib-uri>~</taglib-uri></taglib>
4. jsp소스에서는 <%taglib uri="tld가 있는 위치" prefix="str" %>선언한다.
<%@taglib%> 에서 prefix="str" 소스에서 커스텀 태그 적용된부분으로 <str:> 로 시작하는 태그이다.
예) <str:upperCase>Test</str:upperCase>
<tag>
<name>upperCase</name>
<tag-class>java파일</tag-class>
반응형
반응형

PGA영역을 늘리면 메모리 효율성이 떨어진다.
1M면 될것을 10M잡으면 100명이 붙을때 100M로 끝날 것을 1G사용하게 되기 때문이다.


버퍼킵은 DISK  I/O가 안일어나고 미리 소트되어 있으니 빠르다.
M-VIEW는 대용량 DML이 일어나면 쓰면 안된다.(DML시 VIEW도 같이 수정 및 메모리에 올려야 되니까)
(그만큼 SGA영역에 여유가 필요하다.)
M-VIEW는 물리적 존재하는 VIEW다.

반응형
반응형


esc와 back-space 클릭 방지




TextBox에 readonly 속성이 걸려있을 경우 백스페이스 삭제시 뒤로가기가 된다. 그걸 방지 하기 위한 스크립트.

/*

 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 * 2005-08-10
 * 박 이 수
 * esc와 back-space 클릭 방지
 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 */
document.onkeydown=checkKey;

function checkKey(){
 //alert("You pressed a following key: "+window.event.keyCode);
 // ESC Key 누를 때 데이터 사라지는 것 방지
 if(window.event.keyCode == 27){
  window.event.returnValue = false;
  return;
 }

 // back-space 누를 때
 if(window.event.keyCode == 8){

  // TextEdit가 아니면 작동하지 않도록
  if(!window.event.srcElement.isTextEdit){
   window.event.returnValue = false;
   return;
  }else if(window.event.srcElement.readOnly || window.event.srcElement.disabled){
   // readOnly나 disabled인 경우 작동하지 않도록
   window.event.returnValue = false;
   return;
  }
 }
 
 event.returnValue = true;
}

반응형

+ Recent posts